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기계맨
기계가공시 표면에 발생하는 잔류응력 본문
<기계공작법 국가직 7급 기출 정리>
- 소재가 변형된 후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소재에 남아있는 응력이다.
- 잔류응력이 남아있는 표면에 드릴구멍을 뚫을 경우 구멍이 타원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.
- 잔류응력은 금속상의 변화나 물체내의 온도구배에 영향을 받는다.
- 부품표면에 남는 인장잔류응력은 일반적으로 피로수면과 파괴강도를 저하시킨다.
- 숏피닝처리는 표면압축잔류응력의 생성과 관계가 있다.
<기계기술사 기출>
6. 금속가공표면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에 관하여 발생원인과 상태 및 변질층 깊이측정방법을 설명하시오.
->
1. 잔류응력 발생 원인
1) 불균일 변형
- 항복변형률을 초과하는 불균일 변형은 영구변형에 의한 잔류응력을 유발
2) 상변화
- 금속의 상변화는 금속상들 사이에서 밀도차를 유발하여 미소한 체적변화를 가져와 잔류응력을 발생시킨다.
3) 온도구배
- 불균일 냉각, 가열에 의한 팽창과 수축으로 잔류응력 유발
2. 변질층 깊이 측정방법
1) 파괴법
ㄱ. 층제거법
- 화학연마로 균일하게 층을 제거시켜가면서 시편의 곡률을 측정하여 계산에 의해 잔류응력을 측정
ㄴ. 국부변형법
- 시편 표면 일부를 제거하고 그 주변의 변형을 측정하여 계산
ㄷ. 노치를 이용한 측정
- 시편에 노치를 만들고 노치의 변형을 측정하여 응력 계산
2) 비파괴법
ㄱ. X-선 응력 측정법
- X-선 회절 현상을 이용한 측정법
ㄴ. 유한요소법
- 절삭점 부근의 온도상승으로부터 잔류응력 분포를 결정
'기계공작법 관련 문제 풀이(기계기술사, 기술고시, 변리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표면경화법 (기술고시, 변리사, 기계기술사 기출 해설> (2) | 2016.10.12 |
---|---|
금속의 마멸, 윤활 (0) | 2016.10.11 |
표면거칠기 표시방법 (기계기술사, 기술고시, 변리사 시험 해설) (0) | 2016.10.05 |
경도시험법 (기계기술사 기출문제 해설) (0) | 2016.10.04 |
금속의 결정조직, 결정립, 재결정(기계기술사, 기술고시 기출 해설) (3) | 2016.10.03 |